본문 바로가기
4. 제1방법 - 가산요소

BOG, FBOG 사례 질문

by 황성택 관세사 2023. 9. 6.
반응형

BOG, FBOG 사례 질문

 

질문

 

운임에 대한 가산요소 파트에서 BOG, FBOG를 다루면서 나온 개념인 총액계약과 단가계약을 아래와 같이 생각해도 될지 궁금합니다.

총액계약

- 판매자는 "판매자가 애초에 받기로 했던 금액"을 구매자로부터 받겠다. 
- 과세관청은 "판매자가 애초에 받기로 했던 금액 - FBOG"를 실제지급가격이라 여기겠다.

단가계약

- 판매자는 수입항에서 물품의 최종상태인 "판매자가 애초에 받기로 했던 금액 - BOG"를 구매자로부터 받겠다.
- 과세관청은 "판매자가 애초에 받기로 했던 금액 - BOG"를 실제지급가격이라 여기겠다. 

 

 

답변

 

이 부분은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물품 대가가 얼마인가에 따라 실제지급가격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총액계약이라면 일정 과부족 인정 범위라면 정확하게 계약물량에 맞지 않더라도 구매자는 당초 합의된 총액을 지급할 것이며, 이게 실제지급가격이 될 것입니다.

단가계약이라면 수입 후 중량을 다시 재보고 그 중량에 단가를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지급할 것이며, 이게 실제지급가격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계약수량과 실제 인도수량이 다른 사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BOG입니다.

BOG된 수량에 대하여 총액계약에서는 당초 용인되는 과부족의 범위라면, 당초 합의된 총액을 지급, 단가계약에서는 BOG 등으로 인해 감소가 반영된 수량에 기초하여 계산된 금액을 지급합니다. 

다만, FBOG한 수량은 수입 중 운송사에게 전매한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총액, 단가 계약과 상관없이 수입신고하는 수량에서 빼주는 겁니다.

근데, FBOG한 부분 만큼은 현물로 지급한 운임으로 보아 실제지급가격에 가산되는 운임으로 과세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