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제1방법 - 가산요소

관세평가 운영에 관한 고시 21조(권리사용료) 관련 질문

by 황성택 관세사 2023. 5. 23.
반응형

관세평가 운영에 관한 고시 21조(권리사용료) 관련 질문

 

질문

 

권리사용료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관세평가 운영에 관한 고시 21조(권리사용료) 2항 3호에 " 구매자가 특허권 등(상표권 제외)의 권리권자로부터 수입물품과 관련된 특허권 등에 대한 전용실시권을 허락받아 판매자에게 그 특허권 등에 대한 통상실시권을 허락하고 구매자가 해당 권리권자에게 해당 특허권 등에 대한 권리사용료를 지급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거래조건에 따라 지급하는 권리사용료에 포함된다고 나와 있는데요, 왜 이것이 거래조건으로 지급된다고 인정할 만한 거래사실인지 상황이 잘 이해가 안 됩니다. 

시행령 19조 5항 3호에서처럼 "구매자가 수입물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라는 표현이 없는데도 거래조건으로 볼 수 있는 건 왜 일까요?

 

 

답변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용실시권과 통상실시권의 개념을 알아야 하는데요.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전용실시권은 특허권 등 권리권자와의 계약의 범위 내에서 해당 권리를 독점적으로 실시할 권리를 받는 것이고, 통상실시권은 부분적으로 실시한 권리를 받는 겁니다. 따라서 구매자가 원 권리권자로부터 전용실시권을 허락받았다면 독점적으로 그 권리를 사용하니까 계약의 범위 내에서는 사실상 권리권자와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때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통상실시권을 허락하여 수입물품을 생산하게 하고 수입할 수 있으며, 구매자는 원 권리권자에게 권리사용료를 지급하는데요.
구매자가 하는 모든 행위는 권리사용료의 지급과 연결되므로 이렇게 전용실시권을 허락받은 경우에는 거래조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보겠다는 취지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시행령 19조 5항 3호와 위 해당 고시는 구매자가 원권리권에게 권리 사용을 허락받고 판매자에게 이를 사용하게 하고 물품을 수입한다는 점에서 와 비슷하게 보입니다만, 당연 고시 규정은 시행령 규정의 한 예시이므로 비슷할 수 밖에 없고요. 시행령 규정은 전용실시권, 통상실시권이라는 계약과 상관없이 수입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전용실시권, 통상실시권이 발생하는 경우는 수입물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황의 예시로 볼 수 있곘고요. 


일반적으로 제3자에 지급하는 권리사용료 거래조건 판단여부는 규정에 부합하는 사실관계를 제시해줄 것이니 전용실시권, 통상실시권과 같은 표현이 나오면 고시에 부합하면 거래조건 충족으로 보면 됩니다.
(물론 실제로는 각 사실관계에 따라 판단될 것이라 이견이 발생할 수 있으나, 시험 목적상 제시된 사실관계가 규정의 표현에 부합하는지 기준으로 봐주세요.)

반응형